Celsius scale과 Kelvin scale로 계산하면 그 값이 다르게 나온다는 것에 관해 질문해주셨습니다.
Celsius 이용 시 오차가 더 크게 나타난 이유를 2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Celsius 자체에 의한 영향 때문일 수 있습니다. Celsius degree는 온도 변화에 따른 액체 기둥의 높이 변화를 이용하여 설정한 것입니다. 이와 달리, Kelvin scale을 활용하는 절대온도는 perfect gas law를 활용하여 정의내린 thermodynamic temperatrue scale입니다. 따라서 열역학 관련 계산을 할 때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그 degree가 변할 수 있는 섭씨 온도보다는 절대 온도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2) 계산 시 유효숫자의 영향에 의한 것일 수 있습니다. 계산을 하다보면 소숫점 이하로 무수히 많은 수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항상 소숫점 이하의 모든 수를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계산하는 과정에서 실험적으로 나온 데이터 값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우님께서 질문하신 왜 오차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교재 내용을 기반으로 가볍게 답변 드리는 점 참고 바랍니다!
학우님 안녕하세요,
Celsius scale과 Kelvin scale로 계산하면 그 값이 다르게 나온다는 것에 관해 질문해주셨습니다.
Celsius 이용 시 오차가 더 크게 나타난 이유를 2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Celsius 자체에 의한 영향 때문일 수 있습니다. Celsius degree는 온도 변화에 따른 액체 기둥의 높이 변화를 이용하여 설정한 것입니다. 이와 달리, Kelvin scale을 활용하는 절대온도는 perfect gas law를 활용하여 정의내린 thermodynamic temperatrue scale입니다. 따라서 열역학 관련 계산을 할 때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그 degree가 변할 수 있는 섭씨 온도보다는 절대 온도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2) 계산 시 유효숫자의 영향에 의한 것일 수 있습니다. 계산을 하다보면 소숫점 이하로 무수히 많은 수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항상 소숫점 이하의 모든 수를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계산하는 과정에서 실험적으로 나온 데이터 값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우님께서 질문하신 왜 오차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교재 내용을 기반으로 가볍게 답변 드리는 점 참고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