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귀감이 되는 강의 제공해주시는 교수님과 도와주시는 조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2022140415 식품공학과 오진우 입니다.
반데르발스 방정식은 분자 간 인력과 분자의 부피를 고려하여 이상기체 방정식을 보정한 형태로 주어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허나 위 방정식은 초임계 유체나 극저온 상태에서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이에 따라 실험적 결과와 불일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처럼 실험적 데이터를 얻기 힘든 경우에, 반데르발스 방정식을 수정하는 여러 방법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 그 해를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 대입법으로 해결하여 근사할 수 있는지, 또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하는 연구가 유효한 방법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오진우 드림.
네, 반데르발스 방정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이를 수정한 Redlich-Kwong이나 Peng-Robinson 등의 상태방정식들이 개발된 바가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하신대로 정확도가 떨어지는 부분도 있으나, 이러한 영역에서는 분자 동역학 (MD) 시뮬레이션 등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나 머신러닝 등을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특히 실험이 어려운 극한 조건에서는 간단히 해를 구할 수 있는 필수적인 접근 방식입니다.